JAVA의 String()과 StringBuffer() 사용
Java 코딩을 몰라도 제일 먼저 접했던게 String문자열이었다. String 다양한 생성자를 제공하며 여러형태로 문자열도 만들어 낼수 있다.
※ 스트링 리터러로 객체 생성:
String st = "abcdef";
※ 클래스의 생성자를 이용한 스트링 생성
배열로 문자생 char ch[]={'d','c','a','b'};
↘
String st = new String(ch);
String st2 = new String("dcab");
※ String() //빈 스트링 객체 생성
String(char[] value) //문자 배열에 포함된 문자들을 스트링 객체로 생성
String(String original) //인자로 주어진 스트링과 똑같은 스트링 객체 생성
String(StringBuffer buffer)//스트링 버퍼에 포함된 문자들 스트링 객체로 생성
String new(" abab"); 생성하였다. String에 사용되는 메소드를 이용하여
코딩을 작성하여 결과를 보실수 있습니다.
String문자열을 사용하다 보면 코딩할때 필요한 메소는 이용하여 숫자를 출력해 봅니다.
즉, String a="Top class, Top class, Top class"; 에서 글자 's'가 몇번 들어갔는지
확인하는 코딩입니다. 핵심코딩은 a.charAt(i)=='s' 입니다.
※StringBuffer()메소드는 스트링 버퍼의 크기의 문자열 길이는 가변적이다.!
StringBuffer() 메소드는 String 클래스 기능과 유사하지만 제일 큰 차이점은
String 객체가 한번 만들면 수정할수 없는 것과는 StringBuffer객체는 내무에 문자에 문자열을 저장 해가면서 가변의 크기와 버퍼를 가지고 있기에 문자 생성 후 문자열 값을 변경,바꿀 수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