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va에서 관계 연산자는 이항 연산자로써 두 개의 연산자값을 비교하여 true 또는 false 값을 얻습니다. 주로 선택문과 반복문의 조건식에 많이 쓰인다고 하네요.
자! 그러면 관계연산자란 무엇인지? 아래 표를 이쁘게 보기좋게 정리해 봤습니다.
이 연산기호을 통해 java코딩을 직접 작성해보시면 이해가 훨씬 잘 될거라고 생각이 듭니다. Let's use the math symbol to generate the java coding
java 초보자 분들이 제일 실수 잘하는 부분이 '오타'입니다. 오타나서 결과 안나오는 경우 있을실겁니다. 오타를 줄이는 건 코딩을 많이 작성하는 방법밖에 없어요.
이번에는 논리연산입니다. 논리연산자는 연산자의 값을 평가하여 결과을 true 또는 false 값을 반환합니다. 아래 표를 보시면서 설명을 쓰다보니 말장난 논리연산같네요.
1번에서 (A || B)설명, A도 사실 또는 B도 사실이니 A||B는 사실이다.
1번에서 (A && B)설명, A도 사실이고 B도 사실이니 A && B는 사실이다.
2번에서 (A || B)설명, A는 사실 또는 B는 거짓, 둘중에 하나만 사실이어도
A||B 사실이다.
2번에서(A && B)설명, A는 사실 이고 B는 거짓이니 둘중에 하나만 거짓이어도
A && B는 거짓이다.
3번에서(A || B)설명, A는 거짓 또는 B는 사실 하나만 사실이면 A||B는 사실이다.
3번에서(A && B)설명, A는 거짓 이고 B는 사실이면 둘중에 하나만 거짓이어도
A && B는 거짓이다.
4번에서(A || B)설명, A도 거짓 또는 B도 거짓, 둘다 거짓이니 A||B 거짓이다.
4번에서(A && B)설명, A도 거짓 그리고 B도 거짓, 둘다 거짓이니 A &&B도 거짓이다.
아우~! 정신없어.
논리연산관계는 java 코딩을 작성해 보겠습니다.
java coding is taught through a lot of practice